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온라인) 2025 CES 분석 (1/2) #8

DEV-daehyun99 2025. 1. 27. 17:09

DEV-daehyun99's Blog Period 2024/10/01 ~ 2025/02/28
Link https://dev-daehyun99.tistory.com/
2024년
번호 업로드 일정 내용
1 10월 01일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활동 시작 인사
2 10월 07일 IT 분야 정보 공유
  10월 23일 KES 2024 관람
3 10월 28일 KES 2024 리뷰 (1/2)
4 11월 11일 KES 2024 리뷰 (2/2)
  12월 10일 AI summit Seoul 2024 관람
5 12월 16일 AI summit Seoul 2024 리뷰 (1/2)
6 12월 30일 AI summit Seoul 2024 리뷰 (2/2)
2025년
번호 업로드 일정 내용
7 01월 13일 에이블스쿨 2024 되돌아보기 & 7기 모집
8 01월 27일 (온라인) 2025 CES 분석 (1/2)
9 02월 10일 (온라인) 2025 CES 분석 (2/2)
10 02월 28일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활동 마무리 인사

- 12월까지의 에이블 소식

 9월부터 11월까지는 데이터 분석 및 처리,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집중하여 교육이 진행되었고, 여러 차례의 미니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12월에는 AI 서비스 제작에 필요한 SQL, Cloud, JAVA, Spring에 대하여 넓게 배운 후, 지난 6차 프로젝트에 제작한 AI 모델을 활용하여 AI 웹서비스를 제작하였다. 총 6일 동안 제작했기 때문에, 디테일한 부분까지 신경 써서 만들지는 못했지만, 웹 사이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제작해 볼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 7차 미니프로젝트

 

 

 해당 미니 프로젝트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하자면, 응급 전화 문의에 대하여 ChatGPT API, BERT 모델을 활용하여 응급상황을 분류하고 Naver API를 활용하여 가까운 거리의 응급실을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Spring, FastAPI, SQLite를 활용하여 구현하였고, 나는 AI 모델 성능을 향상시키는 부분을 맡았다. 모델 학습을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였고, '중증도 분류 표'와 RAG모델을 활용하여 응급 상황 등급 분류 성능을 높일 수 있었다.

순서 과정 출력
1 사용자의 메시지 아이가 갑자기 머리가 너무 아프다며 숨을 제대로 못 쉬고 있어요. 땀이 줄줄 흐르고 얼굴이 하얗게 질려서 너무 걱정돼요.
2 ChatGPT 3.5의 답변 {"1차 판단": "아이가 갑자기 머리가 아파하며 숨을 제대로 못 쉬고 있고, 땀이 줄줄 흐르며 얼굴이 하얗게 질리는 증상을 보입니다. 상황이 심각해 보이므로, 응급상황일 수 있습니다. 구급차 요청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RAG 모델의 답변 Query: {"1차 판단": "아이가 갑자기 머리가 아파하며 숨을 제대로 못 쉬고 있고, 땀이 줄줄 흐르며 얼굴이 하얗게 질리는 증상을 보입니다. 상황이 심각해 보이므로, 응급상황일 수 있습니다. 구급차 요청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Corpus[1] : 심정지(외상성) - 1단계
Corpus[2] : 중증 호흡곤란 - 1단계
Corpus[3] : 중증 호흡곤란 - 1단계
Corpus[4] : 중증 호흡곤란 - 1단계
Corpus[5] : 중증 호흡곤란 - 1단계
4 BERT 모델의 최종 판단 1등급으로 분류
5 데이터 전처리 등급에 따른 데이터 전처리 (NAVER API 호출 / DB 저장)

 사용자가 119에 전화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면 Wisper 모델을 활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후, GPT 3.5 모델이 사전 프롬프팅에 의하여 상황에 대한 요약과 1차적인 판단을 해준다. 그 후, GPT 3.5의 답변에 대하여 RAG 모델이 가장 관련도가 높은 항목 5개를 뽑은 후, GPT 3.5의 답변과 같이 BERT 모델에게 전달한다.

RAG 답변 예시 1
RAG 답변 예시 2

 BERT 모델은 최종적으로 상황을 판단한 후, 응급상황일 경우, 사용자 위치 기반으로 가까운 거리의 응급실을 소개하고, 응급상황이 아닐 경우, 그에 맞는 안내를 해준다.

 

- [홍보] KT AIVLE School 7기 모집 공고

(2025/01/20 ~ 2025/02/10) 기간 동안 에이블스쿨 7기 수강생 모집 서류 접수를 받는다고 한다. AI와  Cloud 기술에 관심이 있으면 AIVLE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될 것 같다!

 

- KT AIVLE School 모집안내 및 지원

 

AIVLE

실무에 강한 AI/DX 인재를 꿈꾸는 대한민국 청년이라면 KT AIVLE School에 도전해보세요. 지원자격 학력 정규 4년제 대학(학사 이상)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또는 4년제 대학 6학기 이상 수료자(재학생)

aivle.kt.co.kr

 


- CES 2025 소개

CES 2025에 대한 ChatGPT 답변

 CES는 Consumer Electronics Show를 뜻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 IT 박람회이다. CTA에 따르면, CES 2025의 규모는 전 세계 160여 개국에서 약 4,500개 이상의 기업들이 참가하였다. 주요 4가지의 주제는 Connect, Solve, Discover, Dive In이다.  AI 기술을 바탕으로 기술과 데이터의 연결, 실질적인 문제의 해결,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그리고 몰입을 의미한다. 2025년을 AI 기술을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해로 바라본 것 같다. CES 2025에서는 AI, 모빌리티, 스마트홈, 헬스케어, ESG 등의 다양한 분야의 최신 기술 트랜드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해당 연도에 주목받고 있는 산업군의 C레벨 임원들의 기조연설과 컨퍼런스가 진행되었다. 그중 가장 큰 관심을 받은 것은 NVIDIA 창업자 젠슨 황의 기조연설이었다.

 

 이번 CES 2025 분석 글을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많은 고민이 있었다. CES를 많이 들어는 봤지만 직접 가본 적은 없었고, 온라인으로 자료를 찾다 보니 약간의 막막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큰 관심을 받았던 주요 기조연설들과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기업의 제품을 소개할 계획을 세웠었다. 하지만, 글 작성을 위해 자료 조사를 하다 보니, 해당 내용을 다루는 양질의 유튜브 영상, 블로그 글, 보고서 등의 자료들을 인터넷에서 이미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컨퍼런스 주제 요약
1 Global AI Investment Trends AI의 미래, 투자 동향, 차세대 AI 혁신과 성장을 주도하는 기회에 대한 최고 투자자들의 인사이트를 확인하세요.
2 Workforce Readiness And The Global Economy AI가 고용 시장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살펴보고, 미래를 대비한 인력 준비, 재숙련, AI 주도의 기회 수용에 대한 인사이트를 살펴보세요.
3 The Race for Generative AI and LLM Supremacy 최고의 모델과 신생 기업이 서로 다른 수준의 혁신으로 경쟁하며 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는 제너레이티브 AI와 LLM 패권 경쟁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세요.
4 Retail Reimagined From Vision to Value With AI AI Agent가 소매 고객 경험을 변화시키고, 개인화된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비즈니스가 고객과 연결되는 방식에 혁신을 가져오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5 The Rise of AI Agents 공급망 최적화 및 고객 개인화 강화부터 주방 자동화 및 예측 메뉴 계획의 혁신에 이르기까지 AI가 식품 서비스 산업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 살펴보세요.

 그래서 같은 내용에 관한 글을 작성하는 것보다는 AI 주제에 특화된 컨퍼런스 세션을 소개 및 정리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번 CES 2025 분석 (1/2)에서는 위 표 중에서 'Global AI Investment Trends', ' Workforce Readiness And The Global Economy ' 컨퍼런스 영상을 시청 후, 주요 내용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CES 2025 분석 (2/2)에서는 나머지 3개의 컨퍼런스 세션에 대해 글을 작성할 계획이다.

 

- Global AI Investment Trends 

- 영상 링크 : https://www.ces.tech/videos/2025/january/global-ai-investment-trends/

- 세션 참가자: 
 Denise Záles from Incrediwear.co
 Tien Wong from IronGate Capital Partners
 Tony Kim from Blackrock
 Alex Yeh from GMI
 Moyi Dang from Coinfeeds
 Warren Packard from AI Fund

 

 해당 세션에서는 AI 기술의 수평적인 특징을 가장 먼저 다루었다. AI 기술은 다양한 산업과 분야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기업가들이 보유한 도메인의 수직적인 시장 전문성과 AI 기술의 수평적인 특성을 결합한다면, 훌륭한 B2B SaaS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특정 업종의 경영진이 핵심 전문성을 갖추고, 시장 상황에 매우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를 한다고 한다.

 

 엔터프라이즈 측면과 스타트업에서 바라본 AI 기술의 리스크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엔터프라이즈 측면에서의 가장 큰 리스크는 보안이라고 한다. 제조, 칩 설계와 같이 데이터에 민감한 회사의 경우에는 주로 온프레미스 클라우드를 운영한다. 하지만, 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려면, 온프레미스 형태는 걸림돌이 된다. 왜냐하면, 데이터 사일로(Data silo)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시로, 엔터프라이즈의 HR 부서에서는 업무에 자체 툴을 사용할 것이다. 또한, 영업 부서와 재무 부서에서도 자체적인 툴과 수치들을 다룬다. 이는 데이터 사일로의 발생을 의미한다. AI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추출하려면 온프레미스 클라우드의 데이터 장벽을 허물어 데이터 사일로를 없애야 하고, 이 과정은 높은 보안 리스크를 발생시킨다.

 AI 기술은 적용하기 가장 쉬운 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회사마다 구축된 구조와 보유한 데이터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보안과 더불어서 데이터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누가 어떤 데이터와 AI 도구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사용자 엑세스 관리(IAM)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매우 중요하고 한다.

 

 데이터 관점에서 바라본 AI 기술의 경향에 관한 논의도 있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내부 AI 플랫폼을 필요로 한다. AI 기술은 수평적인 특성 때문에, 여러 업종의 다양한 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AI 기술이 단순히 머신러닝 기술만 다루지 않고, 데이터의 품질, 저장 방식, 저장 위치 그리고 모델 배포 등까지 전체 스택의 문제를 다루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과거 AI SUMMIT SEOUL 2024 컨퍼런스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다루어서 그런지 공감이 꽤나 많이 갔던 세션 주제였다.

 

- Workforce Readiness And The Global Economy

- 영상 링크 : https://www.ces.tech/videos/2025/january/workforce-readiness-and-the-global-economy/ 

- 세션 참가자:

 Noelle Russell from AI Leadership Institute
 Bob Briski from DEPT
 Adrian McDermott from Zendesk
 Lindsey Mastis from Washington, DC
 Alex Swartsel from JFFLabs
 Brian Scarpelli from ACT | The App Association

 

 해당 세션은 AI 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래를 대비한 준비와 기회에 대한 인사이트를 다루었다. 'Global AI Investment Trends'와 마찬가지로, AI 도구와 플랫폼은 어디에나 존재할 것이며, 이는 모든 업무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면서 일의 미래에 대한 더 큰 질문에도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고, 다음과 같은 질문을 생각해 봐야 한다고 하였다.

1) 우리 사회가 AI와 협력하든 단독으로 하든 인간만이 할 수 있거나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은 무엇인가?

2) AI의 발전이 우리가 하는 일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가?

3) 어떻게 하면 모든 사람이 생계와 양질의 일자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는가?

 

 AI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프트웨어 기술자에게는 흥미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는데, 개발자는 API에 동일한 데이터로 동일한 질문을 하면 동일한 답변을 얻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LLM은 그런 식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개발자들이 이에 적응하여 AI 도구를 신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AI 기술이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접근성,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을 바꿀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 예시로,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앱인 Be My Eyes를 언급하였다. Be My Eyes 앱은 시각 장애인과 일반인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앱이다. ChatGPT와 같은 AI 앱과 Be My Eyes와 같은 앱을 기반으로 사람들에게 새로운 방식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쏟아져 나오는 AI 시스템, 도구, 아이디어를 어떻게 따라잡고 있는지에 대한 질의응답도 있었다.

 Lindsey Mastis는 뉴스 앵커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녀의 하루 일과 중 일부는 최신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하였다. 업무 특성상, 최신 트랜드를 숙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앞으로 어떤 기술을 배워야 할지도 파악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관련하여 자신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미래의 AI 아이디어를 제시했는데, 자신만의 딥페이크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다. 앵커가 아플 경우, 딥페이크 기술을 통해서 AI가 앵커 데스크 업무를 대신 수행할 수 있고, 시청자들은 아픈 앵커의 뉴스 소식을 듣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앵커 데스크 업무를 인공지능이 수행하고, 본인은 다른 업무들을 수행할 수 있다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나도 블로그 글을 작성하면서 일부 업무는 AI 기술을 활용해서 수행하기 때문에 공감하는 부분이 있었다. 영어와 관련된 영상을 봐야 한다면, WhisperAI로 audio2text를 수행한 후, DeepL API로 번역한 스크립트를 참고하여 영상을 시청한다.

 Bob Briski은 해당 질문에 "지금 일어나고 있는 모든 기술과 변화를 따라잡으려 하는 사람은 그만둬야 한다"라고 하였다. Bob Briski은 AI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하루 종일 AI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며, 사람들도 자신에게 AI에 관한 질문들을 하지만, 본인조차도 "아직 표면을 긁어보지 못했다"라고 한다. AI 기술이 너무 빠르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AI 기술에 접근하려면 이전에 설정했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단순 최신 기술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하였다. 최근 딥시크(DeepSeek)가  큰 관심을 이끌고 있어서 공부해야 하나 고민 중이었는데, 생각을 좀 더 해봐야 할 것 같다. 

 

 AI 분야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어서 높은 기대감을 가지는 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AI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도 존재하고 이로 인하여, AI 기술의 적용에 실패한 사례들도 있다. 몇 가지 예시로는 피부색에 따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안면 인식 기능, ChatGPT를 활용하여 작성한 법률 서면에 포함된 할루시네이션 등이 있다. 사람들이 비용 절감 측면이나 AI 기술의 효율성 측면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나쁜 사용 경험을 만들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술의 한계와 배포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 참고 자료

[CES 2025]

 

CES - The Most Powerful Tech Event in the World

CES® is the most powerful tech event in the world — the proving ground for breakthrough technologies and global innovators. This is where brands get business done, meet new partners and where the industry’s sharpest minds take the stage to unveil thei

www.ces.tech

 

[신동형의 테크 지식 탐험/트렌드 자료/CES 2025(476p 최강자료)]

 

Microsoft OneDrive

 

onedrive.live.com

 

[CES 2025 프리뷰: 미리 보는 CES 트랜드 - 삼정KPMG Korea]

 

LinkedIn 삼정KPMG (KPMG Korea) 페이지: CES 2025 프리뷰: 미리 보는 CES 트렌드

[CES 2025 프리뷰: 미리 보는 CES 트렌드]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ICT 융합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가 열립니다. 첨단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CES

kr.linkedin.com

 

[2024-2025 엔비디아 주요 뉴스 라운드업]

 

2024-2025 엔비디아 주요 뉴스 라운드업

최근 엔비디아의 발표가 쏟아지고 있다. 이 AI 및 프로세서 대기업에 대한 주요 뉴스를 2024년부터 정리했다.

www.cio.com

 

[최형광 칼럼 | 2025 CES @혁신기술 리터러시]

 

최형광 칼럼 | 2025 CES @혁신기술 리터러시

CES의 메세지는 “연결하고, 해결하고, 발견하고 깊게 파고들라(Connect, Solve, Discover n Dive in)”다. 혁신기술의 발전은 가파르고 시장의 변화는 역동적이다.

www.ci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