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에이블스쿨
- CES 2024
- 기자단
- 일론 머스크
- kes 2024
- ChatGPT
- 6기
- aivle 기자단
- ces 2025
- 자율주행
- 전력 인프라
- 파이콘 한국 2024
- 이노시뮬레이션
- ai 인프라
- kt-aivle
- ai 개발자 트랙
- ai summit seoul 2024
- KT aivle school
- aisummitseoul
- 캡스톤디자인
- 파이콘
- 나도 모르는 나
- hellopy 1차 컨퍼런스
- AI
- 한국전자전
- pycon kr 2024
- 통신 인프라
- hellopy
- KTAIVLESCHOOL
- ais 2024
- Today
- Total
DEV-daehyun99
KES 2024 리뷰 (2/2) #4 본문
DEV-daehyun99's Blog | Period | 2024/10/01 ~ 2025/02/28 | |||||
Link | https://dev-daehyun99.tistory.com/ | ||||||
2024년 | |||||||
번호 | 업로드 일정 | 내용 | |||||
1 | 10월 01일 |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활동 시작 인사 | |||||
2 | 10월 07일 | IT 분야 정보 공유 | |||||
10월 23일 | KES 2024 관람 | ||||||
3 | 10월 28일 | KES 2024 리뷰 (1/2) | |||||
4 | 11월 11일 | KES 2024 리뷰 (2/2) | |||||
12월 10일 | AI summit Seoul 2024 관람 | ||||||
5 | 12월 16일 | AI summit Seoul 2024 리뷰 (1/2) | |||||
6 | 12월 30일 | AI summit Seoul 2024 리뷰 (2/2) | |||||
2025년 | |||||||
번호 | 업로드 일정 | 내용 | |||||
7 | 01월 13일 | 에이블스쿨 2024 되돌아보기 & 7기 모집 | |||||
8 | 01월 27일 | (온라인) 2025 CES 분석 (1/2) | |||||
9 | 02월 10일 | (온라인) 2025 CES 분석 (2/2) | |||||
10 | 02월 28일 |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활동 마무리 인사 |
한국전자전
KOREA ELECTRONICS SHOW
kes.org
- 가상화를 통한 자율주행 검증 (KETI)
리뷰(1/2)에서는 이노시뮬레이션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을 살펴보았다. 이노 시뮬레이션은 정밀한 센서 데이터와 가상환경을 통한 알고리즘 검증에 집중하여, 차량의 센서 반응과 AI 기반의 의사결정 과정을 평가한다. KETI의 모빌리티 플랫폼은 여러 대의 차량을 동시에 운행하며 충돌 상황 등 다양한 복잡한 환경을 구현하여, 자율주행 차량이 실제 도로에서 다른 차량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시뮬레이션한다.
- 현실 공간에서의 자율주행 기술 검증 (TREEZE)
TREEZE는 자율주행 기술을 실제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접근하여, 자율주행 기술의 검증과 발전을 목표로 하는 회사이다. 위 사진에 보이는 자율주행차에 센서와 컨트롤러들을 부착하여 자율주행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개선한다. 이러한 하드웨어 기반 접근 방식은 가상 시뮬레이션에 비해 실제 환경에서 자율주행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성능 테스트를 위해서는 실제의 도로 환경을 직접 구현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 제조업 공정을 위한 가상화 시뮬레이션 (VISIONSPACE)
우리나라는 제조업 기반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조 공장을 새로 설계하거나 건설하기 전에 공장 운영에 필요한 예산과 생산량 예측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VISIONSPACE는 이러한 예측을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도록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제조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을 통해 공장을 실제로 짓기 전에 가상의 공장 모델을 만들어, 생산 공정과 자원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계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시나리오를 테스트하고 최적의 공정과 자원 배치를 결정할 수 있고, 공정 중 예상되는 잠재적 병목 현상이나 생산성 저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여 효율적인 생산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VISIONSPACE는 로봇 팔과 같은 개별 장비의 성능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결합하여, 공장 내부의 장비 현황과 공정 진행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실제 운영 중에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한다.
- 제조업을 공정을 위한 현실 기술 (RAINBOW ROBOTICS - RB SERIES)
이번 KES 2024 전시회에서 볼 수는 없었지만, VISIONSPACE의 로봇 팔을 보고, 지난 여름방학 동안 학교에서 진행한 딥러닝 세미나에 참여했던 기억이 났다. 세미나는 영상처리 딥러닝에 대하여 주로 다루었고, 세미나의 마지막 날에는 영상처리 딥러닝을 활용하여 제품의 불량을 판단하고, 위 영상처럼 로봇 팔을 활용하여 분류하는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현실에 로봇 시스템을 실제로 도입하기 전에, 공장의 내부 구조를 3D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여 가상 환경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테스트한다면, 실제 로봇 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에러 상황을 미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SK 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이번 전시에서 HBM(High Bandwidth Memory) 반도체 칩과 AI 반도체 칩을 선보였다. HBM은 고속 데이터 처리와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여, AI와 빅데이터 처리, 고성능 컴퓨팅(HPC)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반도체 기술로 최근 SK하이닉스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할 수 있게 만든 기술이기도 하다. AI 반도체 칩은 AI 연산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여 인공지능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타
3D프린터 전시관도 있었다. 전시를 구경하면서 놀랐던 점은, 3D프린터기로 뽑은 물체들의 촉감이 각각 다르다는 것이었다. 과거에 3D프린터로 명판 만들기 실습을 수행한 적이 있다. 3D프린터기가 명판을 출력하는 모습을 회상해 보면, 말랑말랑한 촉감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
- 객체 인식을 위한 카메라 기술
위 사진의 ZAIV-M2는 On-Device AI 기술을 지원하는 작은 칩 모듈이다. 이 모듈은 RK3588 프로세서와 4개의 카메라를 통해 객체 감지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On-Device AI는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장치 자체에서 모든 연산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실시간 응답성과 데이터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다. On-Device AI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On-Device AI는 데이터를 로컬 장치에서 처리하여, 실시간 응답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또한, 데이터가 로컬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Device의 특성상 연산 능력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딥러닝 모델의 최적화와 경량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Trade-off 관계에 있는 두 요구사항을 상황에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객체 인식을 위한 LiDAR 기술
객체 인식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LiDAR를 활용한 객체 인식 기술이 있다. LiDAR는 레이저를 발사하여 반사되는 빛을 수신함으로써, 물체와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3차원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객체의 위치와 크기, 형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고정밀 3D 맵을 생성하여 객체와의 상호작용이나 거리 계산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활용된다.
객체 인식을 위한 카메라 기술과 LiDAR 기술은 각각 장단점이 있다. 카메라 기반 객체 인식 기술은 색상, 표지판 안의 그림과 같이 물체를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어두운 환경이거나 단일 카메라로는 거리 측정을 위한 깊이 정보 획득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해야 한다. LiDAR 기반 객체 인식 기술은 레이저를 활용하기 때문에, 매우 정확한 거리 데이터를 제공하며, 어두운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하지만, 색상, 표지판 안의 그림과 같은 시각적인 정보는 획득할 수 없고, 카메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가진다.
- 삼성전자
삼성의 Samsung b.IoT 솔루션은 건물 내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 데이터들을 통해 AI 기반 에너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실내 환경에서 에너지 절감을 실현하는 시스템이다. 이 솔루션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건물의 가상 모델을 생성하여, 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예측을 통해 최적의 에너지 사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SmartThings Pro는 주거형 임대공간 및 다양한 중소형 상업 공간을 위해 설계된 AI 기반 디지털 전환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여러 매장과 공간의 운영 상태와 문제점을 한눈에 파악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와 맞춤형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삼성은 SmartThings라는 IoT 오픈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SmartThings는 삼성뿐만 아니라 다른 브랜드의 스마트 기기들도 연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개방형 플랫폼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한 스마트홈 및 스마트 빌딩 경험을 제공한다. 삼성의 SmartThings 플랫폼은 단순한 IoT 기기 관리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다양한 스마트 환경을 구축하며, 점점 더 많은 기기와 서비스가 이 생태계에 포함되면서 IoT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 후기
이렇게 10/23에 다녀온 KES 2024 리뷰 글 작성을 완료하였다. 개인적으로 신기한 기술도 많았고, 많은 분야의 도메인 지식을 넓게 훑어볼 수 있었던 경험이라고 생각된다. 에이블 스쿨 교육을 시작한 지, 벌써 두 달이 넘었다. 총 교육의 1/3을 수강한 것인데, 회고해 보면 많은 내용들을 끊임없이 배웠지만,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고 부족한 부분도 많은 것 같다. 남은 기간 지쳐 포기하지 말고, 다들 본인이 소망하는 바 끝까지 해내어 이루었으면 좋겠다. 화이팅하자.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summit Seoul 2024 리뷰 (2/2) #6 (4) | 2024.12.30 |
---|---|
AI Summit Seoul 2024 리뷰 (1/2) #5 (3) | 2024.12.16 |
KES 2024 리뷰 (1/2) #3 (8) | 2024.10.28 |
IT 분야 정보 공유 #2 (9) | 2024.10.07 |
시작 #1 (4)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