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daehyun99

시작 #1 본문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시작 #1

DEV-daehyun99 2024. 10. 1. 13:59

DEV-daehyun99's Blog Period 2024/10/01 ~ 2025/02/28
Link https://dev-daehyun99.tistory.com/
2024년
번호 업로드 일정 내용
1 10월 01일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활동 시작 인사
2 10월 07일 IT 분야 정보 공유
  10월 23일 KES 2024 관람
3 10월 28일 KES 2024 리뷰 (1/2)
4 11월 11일 KES 2024 리뷰 (2/2)
  12월 10일 AI summit Seoul 2024 관람
5 12월 16일 AI summit Seoul 2024 리뷰 (1/2)
6 12월 30일 AI summit Seoul 2024 리뷰 (2/2)
2025년
번호 업로드 일정 내용
7 01월 13일 에이블스쿨 2024 되돌아보기 & 7기 모집
8 01월 27일 (온라인) 2025 CES 분석 (1/2)
9 02월 10일 (온라인) 2025 CES 분석 (2/2)
10 02월 28일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활동 마무리 인사

 나는 KT AIVLE School 6AI 개발자 트랙 과정을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이다. AIVLE 스쿨 교육은 사전학습 교육을 포함해서 8월부터 수강하고 있고, 최근 미니 프로젝트도 수행하면서 정신없는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 그러다 최근 kt-wiz의 홈경기를 보기 위해 에이블러들과 야구를 보러 갔다. 상대팀은 키움 히어로즈였다. 나는 야구를 잘 모르지만,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오늘의 경기가 KT wiz의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이면서 중요한 경기라고 했다. 경기의 초반부에는 KT wiz가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조마조마한 와중에 KT wiz의 에이스 고영표가 등장하더니 경기장의 분위기가 바뀌었고, KT wiz의 짜릿한 역전승을 이끌었다.

파도타기

KT wiz의 에이스 - 고영표

 

 재미있게 관람을 했고, 며칠 뒤 AIVLE School의 SNS에 각 반의 반장들이 9월의 기록들을 업로드하였다. 업로드된 글들을 보니, 이전에 배웠던 것은 다시 상기가 되었고, 야구장을 갔던 기억은 하나의 추억이 되었다.

에이쁠 카페


 문득 생각해 보니 에이블 스쿨을 지원하면서,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웹서핑을 많이 했었고 인터넷에 글을 올려준 에이블 기자단 선배 기수 분들의 글이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하면서 잠깐 보고 잊었던 글들인데 에이블 스쿨에 직접 참여하면서 회상해 보니, 선배 기수 분들이 본인들의 공부 시간을 쪼개면서 글을 작성했던 것이었고, 이렇게 생각하니 고마움이 느껴졌다. 받은 게 있으면 다시 돌려주려고 하는 나의 성격상 어떠한 보답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기자단에 참여하여 동료 에이블러나 후배 기수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작성한다면 선배 기수들의 도움에 대한 보답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러한 작은 보답들이 모인다면 에이블러 간에 돌고 도는 선행이 될 것이고, 서로 챙기고 도와주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다 같이 발전할 수 있는 단체가 되지 않을까 싶다그래서 조금 늦었지만 10월부터 에이블 스쿨 기자단에 참여해서 다른 에이블러들과 후배 기수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쓰고자 한다.

 

 기자단에 지원을 하면서 어떤 내용의 글을 써야 할지 고민을 해보았다. 에이블 기자단으로써 쓸 수 있는 글의 범위는 딱히 제한이 있는 것 같지 않았다. 그래서 선배 기수 중 기자단 활동을 하신 분들의 글을 다시 한번 찾아보았다. 대부분 합격후기, 교육 참여 후기, 스터디 후기 등등.. 에이블 스쿨에 참여하면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들에 대한 글들이었다. 나도 에이블 스쿨 지원을 하면서 이러한 글들에 많은 도움을 받았고, 후배 기수 분들이 에이블 스쿨 지원을 위해, 이러한 글을 읽는다면 분명 많은 도움이 될 글들이었다. 하지만, 나는 내가 조금 더 잘할 수 있는 다른 방향으로 도움을 주고 싶었다. 그래서 또 생각해 보았다. 최종적으로 내가 내린 결론은 IT 분야의 최신 동향과 다양한 정보들을 전달하여 도움을 주는 것이었다.


 에이블 스쿨은 약 6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매일 9 to 6의 수업 시간과 교육과정 중간중간에 있는 미니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에이블 스쿨 동료 수강생들과 같이 공모전을 나가고 스터디 활동도 하게 된다면, 분명 정신없고 시간이 빠듯한 6개월이 될 것이다. 나는 과거에 KES 2022(한국전자전)에 참관을 했던 적이 있다.


[2022/10/07]한국 전자전 참관 : https://dev-daehyun99.tistory.com/3

 

[2022 KES][10/07] 한국전자전 참관

원본 글 링크 : https://ssam-mu.tistory.com/16 [2022 KES][10/07] 한국전자전 참관지난달 10월 7일에 한국전자전에 참관하였다. 갔다 오자마자 글을 작성하려다가 시험기간도 겹치고 게으름을 피우다가 이제

dev-daehyun99.tistory.com

 KES에는 다양한 볼 거리가 많았으며, 유튜브에서만 보던 신기한 기술을 탑재한 제품들이 많았다. 다른 에이블러들도 IT 분야의 최신 동향을 경험해 봤으면 하는 바람이 있지만, 시간을 쪼개면서 이러한 전시회, 박람회를 참관하는 것은 여간 힘든 것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에이블 기자로써, 이러한 박람회, 컨퍼런스에 직접 참관하여, 보고 느낀 점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을 수강하느라 바쁜 에이블러들에게 최신 IT 분야의 동향과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에이블 스쿨을 수강하지 않는 일반인들에게도 분명 도움이 될 정보들 일 것이다. 또한, 나 자신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아래의 표는 에이블 기자로써 이 블로그에 업로드할 게시물의 일정표이다. 가장 먼저 IT 분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깃허브 링크와 같이 도움이 될만한 사이트들을 모아서 공유할 예정이다. ‘KES 2024’‘AI Summit Seoul 2024’는 직접 참관하여, 현장에서 보고 온 것들에 대해 기사를 작성할 예정이다

게시물 업로드 일정

 AI Summit Seoul 2024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 AI 컨퍼런스이다. 참가비가 학생으로서 약간 부담스러운 금액이긴 했지만, 산업 전반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과 최신 트렌드를 자세히 배울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여 개인 사비로 참가하였다. 관람 후에는 기자단 활동을 통해, 보고 느낌 것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특히, AI 기술이 다양한 산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유익한 정보들을 공유할 계획이다.

 CES 2025 전시회는 미국에서 개최되기 때문에, 전시회 이후에 인터넷에 업로드되는 자료들을 종합하여 주요한 내용들을 요약하여 제공할 것이다. 기자단 활동을 이제 막 시작하는 참이라 이러한 계획이 변경될 수는 있지만, 큰 틀은 변하지 않을 것 같다.


KES 2024 사전 등록
AI Summit Seoul 2024 티켓 구매


 끝으로 KES(한국전자전), AI Summit Seoul, CES(소비자 가전 전시회)이 무엇인지 설명해주는 ChatGPT의 답변을 마지막으로 글을 마치겠다.

'KT AIVLE School 6기 기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summit Seoul 2024 리뷰 (2/2) #6  (4) 2024.12.30
AI Summit Seoul 2024 리뷰 (1/2) #5  (3) 2024.12.16
KES 2024 리뷰 (2/2) #4  (5) 2024.11.11
KES 2024 리뷰 (1/2) #3  (8) 2024.10.28
IT 분야 정보 공유 #2  (9) 2024.10.07